springboot9 3. 게시판 만들고 새 글 작성하기: Create 1.폼 데이터란?폼 데이터(form data): HTML 요소인 태그에 실려 전송되는 데이터서버의 컨트롤러가 객체에 담아 받음 → 이 객체를 DTO (data transfer object)라고 함 태그: 웹 브라우저에서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 / 어디로(where), 어떻게(how) 보낼지 등을 적어서 보냄DTO로 받은 데이터는 최종적으로 데이터베이스(database)에 저장됨 2.폼 데이터를 DTO로 받기입력 폼 만들기뷰 템플릿 페이지(뷰 페이지)에 입력 폼을 만듦src > main > resources > templates 디렉터리에서 articles 디렉터리를 생성하고 new.mustache의 뷰 페이지를 만듦 태그를 작성하고, 게시판의 제목을 입력할 태그, 내용을 입력할 태그, 전.. 2024. 5. 11. 2. MVC 패턴 이해와 실습 목표웹 페이지를 하나의 틀로 보고 변수에 따라 서로 다르게 출력하는 뷰 템플릿 만들기뷰 템플릿을 실행하기 위해 역할을 분담해 동작하는 기법인 MVC 패턴 알아보기1.뷰 템플릿이란?뷰 템플릿: 화면을 담당하는 기술, 웹 페이지(view)를 하나의 틀(template)로 만들고 여기에 변수를 삽입해 서로 다른 페이지로 보여줌(웹 사이트에 로그인하면 “누구누구님 반갑습니다.”라는 문구와 뜨는 것과 같이)1장에서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를 만들 때 머스테치(mustache)라는 도구를 추가한 게 뷰 템플릿을 만드는 도구 2.MVC 패턴뷰: 화면을 담당하는 뷰 템플릿을 간단히 부르는 말뷰 → 컨트롤러 + 모델 컨트롤러(controller):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서버에서 이를 처리하는 역할 모델(model): 데.. 2024. 5. 11. 1. 스프링부트 시작하기 jdk 설치하기인텔리제이 설치하기스프링부트 프로젝트 만들기웹 서비스의 동작원리→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른 서버의 응답으로 동작웹 브라우저 → 클라이언트 / 스프링 부트 → 서버반드시 서버를 실행해야만 웹 브라우저를 통해 응답받을 수 있음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선 localhost:8080(/hello.html)을 사용→ 1) localhost: 실행 중인 서버의 주소 중 특별한 주소인 ‘내 컴퓨터’를 의미 (우리 집)→ 2) 8080: 포트번호를 의미 (방 번호)+) Tomcat: 웹 서버를 의미, 스프링 부트는 이 톰캣에 담겨 실행됨→ 3) hello.html: 서버에 요청하는 파일을 의미, 웹 브라우저(클라이언트)에서 요청한 hello.html 파일을 스프링부트(서버)가 응답으로 보여줌(직접 파일을 지정.. 2024. 5. 11. 이전 1 2 다음